계엄령과 탄핵: 영어로 알아보는 주요 표현과 과정
계엄령(Martial Law)
계엄령은 국가 비상사태 시 군대가 일반 시민의 질서를 유지하기 위해 통치 권한을 행사하는 상태를 의미합니다. 일반적으로 전쟁, 자연재해, 대규모 폭동 등으로 정부 기능이 마비되었을 때 발효됩니다. 영어로는 "Martial Law"라고 표현하며, "martial"은 군대 관련을 뜻합니다.
계엄령 발효 과정:
국가 비상사태 선포.
대통령 또는 최고 권력자가 계엄령 발효 명령.
군대가 일반 시민 생활 통제.
기본권 제한 가능.
탄핵(Impeachment)
탄핵은 공직자의 심각한 법적 위반이나 직권 남용에 대해 직무를 정지시키는 헌법적 절차입니다. 영어로 "Impeachment"라고 표현하며, 이는 공직자를 공식적으로 기소하거나 심판하는 과정을 의미합니다.
탄핵 과정:
의회에서 탄핵 절차 시작.
하원에서 탄핵 소추안 통과.
상원에서 심판 및 표결.
유죄 판결 시 공직 박탈.
예문 및 번역
The president declared martial law in response to widespread riots.
(대통령은 대규모 폭동에 대응하여 계엄령을 선포했다.)
Declared [dɪˈklɛrd]: 선언하다
Martial law [ˈmɑːrʃəl lɔː]: 계엄령 Riots [ˈraɪəts]: 폭동
Under martial law, the military controls civilian life.
(계엄령 하에서는 군대가 시민 생활을 통제한다.)
Military [ˈmɪləˌtɛri]: 군대
Civilian [sɪˈvɪljən]: 시민
The court ruled that the declaration of martial law was unconstitutional.
(법원은 계엄령 선포가 위헌이라고 판결했다.)
Ruled [ruːld]: 판결하다
Unconstitutional [ˌʌnˌkɒnstɪˈtuːʃənəl]: 위헌적인
Impeachment proceedings were initiated against the president.
(대통령에 대한 탄핵 절차가 시작되었다.)
Proceedings [prəˈsiːdɪŋz]: 절차
Initiated [ɪˈnɪʃieɪtɪd]: 시작되다
The House of Representatives voted to impeach the president.
(하원은 대통령 탄핵에 찬성표를 던졌다.)
Representatives [ˌrɛprɪˈzɛntətɪvz]: 대표자들
Impeach [ɪmˈpiːtʃ]: 탄핵하다
The Senate trial will determine if the president is removed from office.
(상원 재판은 대통령이 직에서 물러날지를 결정할 것이다.)
Senate [ˈsɛnɪt]: 상원
Trial [ˈtraɪəl]: 재판
Martial law is often controversial because it limits civil liberties.
(계엄령은 시민의 자유를 제한하기 때문에 종종 논란이 된다.)
Controversial [ˌkɒntrəˈvɜːrʃəl]: 논란이 많은
Liberties [ˈlɪbərtiz]: 자유
Impeachment does not always lead to removal from office.
(탄핵이 항상 직무 박탈로 이어지는 것은 아니다.)
Removal [rɪˈmuːvəl]: 제거
The declaration of martial law must be approved by the legislature.
(계엄령 선포는 입법부의 승인을 받아야 한다.)
Legislature [ˈlɛdʒɪˌsleɪtʃər]: 입법부
The people protested against the imposition of martial law.
(사람들은 계엄령 도입에 반대하여 항의했다.)
Protested [ˈproʊˌtɛstɪd]: 항의하다
Imposition [ˌɪmpəˈzɪʃən]: 도입
The military was deployed to maintain order during martial law.
(계엄령 동안 질서를 유지하기 위해 군대가 배치되었다.)
Deployed [dɪˈplɔɪd]: 배치하다
Maintain [meɪnˈteɪn]: 유지하다
Order [ˈɔːrdər]: 질서
The president faced impeachment due to allegations of corruption.
(대통령은 부패 혐의로 인해 탄핵 위기에 처했다.)
Faced [feɪst]: 직면하다
Allegations [ˌælɪˈɡeɪʃənz]: 혐의
Corruption [kəˈrʌpʃən]: 부패
During martial law, freedom of speech may be restricted.
(계엄령 동안에는 언론의 자유가 제한될 수 있다.)
Freedom of speech [ˈfriːdəm ʌv spiːʧ]: 언론의 자유
Restricted [rɪˈstrɪktɪd]: 제한된
The impeachment vote passed with a slim majority in the House.
(탄핵 투표는 하원에서 근소한 차이로 통과되었다.)
Slim majority [slɪm məˈʤɒrɪti]: 근소한 다수
Vote [voʊt]: 투표
Citizens demanded an end to martial law after several weeks.
(시민들은 몇 주 후에 계엄령 종료를 요구했다.)
Demanded [dɪˈmændɪd]: 요구하다
Several [ˈsɛvrəl]: 몇몇의
The Senate acquitted the president during the impeachment trial.
(상원은 탄핵 재판에서 대통령에게 무죄를 선고했다.)
Acquitted [əˈkwɪtɪd]: 무죄를 선고하다
Trial [ˈtraɪəl]: 재판
Martial law was lifted once the situation stabilized.
(상황이 안정되자 계엄령이 해제되었다.)
Lifted [ˈlɪftɪd]: 해제되다
Stabilized [ˈsteɪbəˌlaɪzd]: 안정되다
The impeachment articles accused the president of abuse of power.
(탄핵 소추안은 대통령의 권력 남용을 비난했다.)
Articles [ˈɑːrtɪklz]: 항목
Abuse of power [əˈbjuːs ʌv ˈpaʊər]: 권력 남용
Under martial law, the government imposed a curfew.
(계엄령 하에서 정부는 통행금지를 도입했다.)
Imposed [ɪmˈpoʊzd]: 도입하다
Curfew [ˈkɜːrˌfjuː]: 통행금지
Impeachment hearings are open to the public for transparency.
(탄핵 청문회는 투명성을 위해 대중에게 공개된다.)
Hearings [ˈhɪərɪŋz]: 청문회
Transparency [trænsˈpærənsi]: 투명성
The court decided that martial law violated human rights.
(법원은 계엄령이 인권을 침해했다고 결정했다.)
Decided [dɪˈsaɪdɪd]: 결정하다
Violated [ˈvaɪəˌleɪtɪd]: 침해하다
Human rights [ˈhjuːmən raɪts]: 인권
Congress debated the necessity of impeachment.
(의회는 탄핵의 필요성에 대해 토론했다.)
Congress [ˈkɒŋɡrɛs]: 의회
Debated [dɪˈbeɪtɪd]: 토론하다
The president promised to restore democracy after lifting martial law.
(대통령은 계엄령 해제 후 민주주의를 회복하겠다고 약속했다.)
Promised [ˈprɑːmɪst]: 약속하다 Restore [rɪˈstɔːr]: 복구하다
Impeachment can be a lengthy and divisive process.
(탄핵은 길고 분열을 초래하는 과정이 될 수 있다.)
Lengthy [ˈlɛŋθi]: 긴
Divisive [dɪˈvaɪsɪv]: 분열을 초래하는
The military governed the region during the martial law period.
(군대는 계엄령 기간 동안 그 지역을 통치했다.)
Governed [ˈɡʌvərnd]: 통치하다
The people protested against the government’s decision to declare martial law.
(사람들은 정부의 계엄령 선포 결정에 항의했다.)
Protested [ˈprəʊtestɪd]: 항의하다
Declared [dɪˈkleərd]: 선언하다
Impeachment requires evidence of high crimes or misdemeanors.
(탄핵은 중범죄나 경범죄에 대한 증거를 요구한다.)
Requires [rɪˈkwaɪrz]: 요구하다
Evidence [ˈɛvɪdəns]: 증거
Misdemeanors [ˌmɪsdɪˈmiːnərz]: 경범죄
The president assured the public that martial law was a temporary measure.
(대통령은 계엄령이 임시 조치에 불과하다고 대중을 안심시켰다.)
Assured [əˈʃʊrd]: 안심시키다 Temporary [ˈtɛmpərəri]: 임시의
The impeachment trial was broadcasted live for transparency.
(탄핵 재판은 투명성을 위해 생중계되었다.)
Broadcasted [ˈbrɔːdkæstɪd]: 방송되다
Live [laɪv]: 생중계로
During martial law, certain civil liberties are suspended.
(계엄령 동안 특정 시민의 자유가 정지된다.)
Civil liberties [ˈsɪvl ˈlɪbərtiz]: 시민 자유
Suspended [səˈspɛndɪd]: 정지된
The military leaders justified martial law as a necessity to prevent chaos.
(군 지도자들은 혼란을 방지하기 위한 필요성으로 계엄령을 정당화했다.)
Justified [ˈʤʌstɪfaɪd]: 정당화하다 Chaos [ˈkeɪɒs]: 혼란
The impeachment proceedings began after the evidence was reviewed.
(증거가 검토된 후 탄핵 절차가 시작되었다.)
Proceedings [prəˈsiːdɪŋz]: 절차
Reviewed [rɪˈvjuːd]: 검토되다
The president imposed martial law to address growing unrest.
(대통령은 증가하는 불안을 해결하기 위해 계엄령을 도입했다.)
Imposed [ɪmˈpoʊzd]: 도입하다
Unrest [ʌnˈrɛst]: 불안
After the impeachment, the vice president assumed office.
(탄핵 후 부통령이 직위를 맡았다.)
Assumed [əˈsuːmd]: 맡다
Office [ˈɒfɪs]: 직위
The constitution allows martial law only in cases of national emergency.
(헌법은 국가 비상 상황에서만 계엄령을 허용한다.)
Constitution [ˌkɒnstɪˈtjuːʃən]: 헌법
Emergency [ɪˈmɜːrʤənsi]: 비상 상황
'영어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비교급과 최상급 형태가 두 가지인 형용사 이해 및 활용법 (5) | 2024.12.12 |
---|---|
To부정사를 뒤로 배치할 수 있는 형용사와 예문 모음 (5) | 2024.12.11 |
연말 연시 인사로 사용하기 좋은 짧은 영어글 100편 100 Short English Greetings for the New Year and Holiday Season (3) | 2024.12.09 |
재귀대명사의 명사적 용법 부사적 용법 및 기타 용법: 초보자를 위한 상세 가이드 (2) | 2024.12.09 |
To부정사의 시제 결정과 사용법: 초보자를 위한 명확한 가이드 (1) | 2024.12.06 |